꿀팁

타이레놀이 안 들을 때 두통 대처법: 진통제 성분별 특징

크르릉크아앙 2025. 5. 7. 09:45
반응형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두통만큼 우리를 자주 괴롭히는 통증도 없을 거예요.

저도 머리가 지끈거릴 때면 으레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을 찾곤 했는데요.

이상하게 어느 날부터인가 예전만큼 효과가 빠르게 느껴지지 않아 '혹시 내성이 생겼나?' 하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머리는 계속 아픈데 말이죠.

 

 

 

그래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계열의 진통제(저의 경우 이부프로펜 계열이었습니다)를 복용해 봤는데,

신기하게도 통증이 훨씬 잘 가라앉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 일을 계기로 문득 궁금해졌어요.

'우리가 약국에서 쉽게 접하는 진통제들, 성분마다 어떤 차이가 있고, 나에게 더 잘 맞는 약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같은 통증이라도 어떤 날은 이 약이, 어떤 날은 저 약이 더 잘 듣는 것 같은 느낌도 있었고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직접 찾아보고 정리한 주요 진통제 성분별 특징과 일반적인 권장량,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들을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광고나 추천이 아니라, 순수하게 정보를 알아보고자 정리한 내용이니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시고,

앞으로 자신에게 맞는 진통제를 선택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물론, 약은 개인의 상태나 복용하는 다른 약물에 따라 효과나 부작용이 다를 수 있으니,

심하거나 지속적인 통증에는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시는 것, 절대 잊지 마세요!

 

 

 

성분
(Ingredient)
종류
(ClassType)
최초 개발/
출시 시기
1회 복용량
(Single Dose)
1일 최대 복용량
(Max Daily Dose)
특징 및 주의사항
(Characteristics & Precautions)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해열진통제 (Antipyretic/Analgesic) ~1955년(
미국 첫 시판 기준)
성인: 300-1000mg (일반적으로 500mg 또는 650mg 정제) 4000mg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달리 소염 효과는 거의 없음
- 위장 장애 부작용이 적은 편.과량 복용 시 심각한 간 손상 위험. 술과 함께 복용 금지
- 다른 감기약이나 진통제에도 아세트아미노펜이 포함된 경우가 많으므로 중복 복용 주의
이부프로펜
(Ibuprofe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1961년 개발
(1969년 영국 출시)
성인: 200-400mg (의사 처방 시 최대 800mg까지 가능) 일반의약품(OTC): 1200mg

전문의약품(Prescription): 3200mg
- 해열, 진통, 소염 효과
- 위장 장애 (속쓰림, 위염, 위궤양, 위출혈 등) 유발 가능성. 식후 복용 권장
- 신장 및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증가 가능성 (특히 장기 복용 시)
- 아스피린 등 다른 NSAIDs와 병용 시 주의
- 천식 환자는 복용 전 전문가와 상의 필요.
덱시부펜
(Dexibuprofe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이부프로펜(1961)의 활성 이성질체(1990년대 후반 이후 상용화 시작) 성인: 200-400mg (1회 최대 400mg) 1200mg - 이부프로펜의 활성 성분(S-이성질체)만 분리한 것
- 이부프로펜보다 적은 용량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음 (따라서 부작용 감소 기대).<br>- 해열, 진통, 소염 효과
- 이부프로펜과 동일한 NSAIDs 계열 부작용 (위장 장애, 신장/심혈관 위험 등) 주의 필요. 식후 복용 권장.
- 천식 환자 등 주의 필요
나프록센
(Naproxe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1967년 개발&l(1976년 미국 출시) 성인: 200-500mg (일반의약품은 보통 나프록센 나트륨 220mg 또는 나프록센 250mg) 일반의약품(OTC): 660mg (나프록센 나트륨 기준)
전문의약품(Prescription): 1250mg (나프록센 기준)
- 해열, 진통, 소염 효과.
- 다른 NSAIDs에 비해 약효 지속시간이 김 (보통 8-12시간). 복용 횟수가 적음 (1일 1-2회)
- 이부프로펜과 동일한 NSAIDs 계열 부작용 (위장 장애, 신장/심혈관 위험 등) 주의 필요. 식후 복용 권장.<br>- 천식 환자 등 주의 필요.
아스피린
(Aspirin)
(아세틸살리실산, Acetylsalicylic Acid)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1897년 개발(1899년 출시 독일 바이엘) 성인 (진통/해열/소염 목적): 300-1000mg (보통 325mg 또는 500mg 정제)<br><br>저용량(75-100mg)은 심혈관 질환 예방 목적이며, 진통 효과는 거의 없음. 성인 (진통/해열/소염 목적): 4000mg - 해열, 진통, 소염 효과.<br>- 강력한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항혈전 효과). 이로 인해 출혈 위험이 다른 NSAIDs보다 높음.
- 위장 장애 (속쓰림, 위궤양, 출혈 등) 위험이 높음. 반드시 음식이나 물과 함께 복용.
- 매우 중요: 바이러스 감염(독감, 수두 등)이 의심되는 19세 미만 어린이/청소년에게 투여 금지 (레이 증후군 위험)
- 아스피린 과민성 천식 환자 주의
- 통풍 환자는 복용 전 상담 필요.
 
 
 

종합적인 주의사항:

  1. 제품 확인: 같은 성분이라도 제품마다 함량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복용 전 제품 설명서의 용법/용량을 확인하십시오.
  2. 최대 용량 준수: 어떤 경우에도 1일 최대 복용량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3. 중복 복용 금지: 여러 종류의 진통제나 감기약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같은 성분이 중복될 수 있으니 성분명을 꼭 확인하십시오.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NSAIDs 계열 약물)
  4. 음주: 진통제 복용 중에는 가급적 음주를 피하십시오. 아세트아미노펜은 간 손상 위험을, NSAIDs(아스피린 포함)는 위장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5. 장기 복용: 의사의 지시 없이 장기간(보통 10일 이상 통증, 3일 이상 발열) 연속으로 복용하지 마십시오.
  6. 전문가 상담: 복용 전후 이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특정 질환이 있거나, 다른 약(특히 항응고제, 다른 NSAIDs 등)을 복용 중인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십시오. 아스피린의 경우 특히 출혈 위험과 레이 증후군 관련하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